본문 바로가기
세계 한국 경제 경영

75년 만의 상속세 대수술! '유산취득세' 국무회의 통과…국회 문턱 넘을 수 있을까?

by bigrich7 2025. 5. 21.
반응형

75년 만의 상속세 대수술! '유산취득세' 국무회의 통과…국회 문턱 넘을 수 있을까?

 

 

💰 안녕하세요.
오늘은 상속세 제도에 큰 변화가 예고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바로 정부가 1950년 상속세 도입 이후 75년 만에 과세 체계를 전면 개편하는 '유산취득세' 제도 도입안을 국무회의에서 통과시켰다는 소식입니다. 📜

하지만! 정작 이번 정권 내 법안 통과는 불발될 가능성도 높은 상황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산취득세 개편안의 핵심 내용, 도입 취지, 그리고 국회 논의 상황까지 자세히 정리해 드릴게요.


반응형

🔍 기존 상속세와 뭐가 다른가요?

기존 상속세는 사망자(피상속인)의 전체 재산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하는 '유산세 방식'이었습니다.
쉽게 말해, 돌아가신 분이 남긴 재산 총액에 대해 과세가 되고, 이를 상속인들이 나눠서 부담하는 구조였죠. 이 방식은 형평성 문제가 자주 제기돼 왔습니다.

📌 그런데 이번에 국무회의를 통과한 '유산취득세'는 상속인 개인이 실제로 받은 몫에 따라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입니다. 즉, 상속인이 많을수록 세 부담이 줄어들 수 있는 구조예요. 정부는 이를 통해 중산층과 다자녀 가구의 상속세 부담을 줄이겠다는 목표를 밝혔습니다.


💡 개편안 핵심 정리

  1. 과세 기준 변경
    기존 유산세 → 유산취득세로 전환
    피상속인의 재산 총액 기준 → 상속인 개인 취득액 기준
  2. 상속공제 방식 변경
    기존 일괄공제(5억)·기초공제(2억) 폐지
    자녀 1인당 5억, 배우자 10억까지 개별 공제
  3. 증여재산 포함 기준 명확화
    생전 증여받은 재산도 일정 기간 내 이뤄졌다면 상속 재산으로 간주

이처럼 개정안은 실질적으로 상속인이 받는 몫에 따라 세금을 매기기 때문에, 형제자매가 많은 가정, 다자녀 가구일수록 유리한 방식으로 바뀌게 됩니다. 특히 기존의 ‘부자 감세’ 논란을 피하면서도 형평성을 높인 방식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어요. 😊


🧾 2028년 시행 목표, 하지만 국회는 ‘빨간불’

정부는 해당 개정안에 대해 입법 예고까지 완료했으며, 국회 통과 시 2028년부터 본격 시행할 계획입니다. 시스템 정비, 공제 기준 재조정, 신고 절차 개선 등 여러 행정적 작업도 병행될 예정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국회 통과가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현재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정부 개편안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데요. 민주당은 배우자 상속공제 확대 중심의 개편안을 추진해왔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이번 개편안에서 ‘배우자 상속세 면제’ 조항을 제외한 것도 여야 간 협상에 불씨가 되고 있어요. 💥

이 때문에 법안이 이번 정권 내 국회에서 통과될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우세합니다.


🏛 제도 개편, 꼭 필요한 이유는?

상속세 제도는 사실상 세대를 이어 자산을 이전하는 구조를 다루기 때문에, 매우 민감한 사안입니다.
지금처럼 총 재산을 기준으로 세금을 매기는 방식은 가족 구성이나 상속 구조에 따라 ‘불공정한 세금’이 부과될 수 있는 구조였어요.

특히 가족이 많을수록 실제로 받는 몫이 작아짐에도 불구하고, 동일하게 고율의 세금을 부담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이런 구조적 불균형을 해소하려면 유산취득세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는 시각이 지배적입니다.


🗳️ 정치적 쟁점으로 확산될 가능성도

이번 개편안이 국회에서 본격 논의되면, 단순한 세금 개편을 넘어 정치적 이슈로 확산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차기 대선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유산취득세 개편이 정당별 공약과 연계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국민 입장에서는 “과연 어떤 정당이 실질적인 상속세 부담을 줄여줄 수 있을까?”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죠.

반응형